빛나는주인공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미디어광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MP3, PMP 휴대용 기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는 유럽의 디지털라이오 표준인 유레카 147DAB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된 방송기술이라 합니다. 이 가운데 지상파 DMB는 ETSI표준(TS 102 427  그리고 TS 102 428)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경쟁 모바일 기술로는 유럽의 모바일 TV 표준인 DVB-H, 일본과 라틴 아메리카의 ISDB-T가 있습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디지털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전송 방송기술로, 휴대 전화, MP3, PMP 등의 휴대용 기기에서 텔레비전, 라디오, 데이터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용 멀티미디어 방송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대한민국에서 고친 기술이라 합니다.



대한민국 방송법에서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동중 수신을 주목적으로 다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방송, 라디오방송 및 데이터방송을 복합적으로 송신하는 방송으로 정의합니다. 처음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라디오방송을 대체할 목적으로 DAB채택한 후 이를 토대로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로 한정된 전파에 더 많은 데이털를 담을 수 있게 되게 되어 본래 목적인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DVD급 수준의 동영상 데이터까지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 위성 DMB

위성 DMB는 방송국에서 인공위성으로 전파를 보내고 인공위성에서 단말기로 전파를 보내는 방식입니다.현재의 DMB의 원천 기술은 대한민국에 속해 있으나 위성DMB(S-DMB) 방송은 일본에서 처음 개시되었습니다. 위성DMB 사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TU미디어는 2004313일 일본의 협력사인 MBCo와 공동으로 세계 최초의 DMB용 위성 '한별'을 쏘아올렸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사업자 선정 과정이 연기되면서 서비스가 미루어졌고, 결국 일본의 MBCo20041019일부터 모두 40개 채널의 정식 서비스를 일본에서 처음으로 시작하여 일본이 최초의 위성DMB 방송 국가가 되었습니다.

 

대형 화면의 고정수신인 TV의 경우 한 번 시청할 때의 이용 시간은 약 2시간 정도인데, 7인치 이하의 화면으로 이동 수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위성DMB의 경우는 더욱 짧은 시간을 이용하는 경향이 높습니다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위성DMB가 탑재되는 기기와 위성DMB 가입자가 모두 줄어들어, 대한민국에서는 2012831일을 끝으로 폐지되었습니다.





● 지상파 DMB

대한민국에서는 2005121일부터 본방송을 시작하여 방송중이다. 지상파DMB 방송은 해당 단말기만 있으면 언제든지 무료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업자로는 한국방송공사, 문화방송, SBS, 춘천문화방송, G1, 대전문화방송, 대전방송, 광주문화방송, 광주방송, 안동문화방송, TBC, 부산문화방송, KNN 부산경남방송, 제주문화방송,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YTN DMB, 한국DMB, U1미디어가 있습니다.

 

200512월에 수도권 관악산, 남산, 용문산 송신소중계소를 시작으로 많은 기간급 송신소중계소들이 설치완료되어왔으며 현재는 중형규모, 소출력 중계소들이 설치되고 있는 중입니다.


●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은 디지털 라디오 기술로서 유럽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 라디오방송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2006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000개의 방송국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DAB 표준은 1980년대에 고안되었고, 오디오 음질이 우수하고, 동일한 방송 스펙트럼으로 여러 방송을 송출할 수 있으며 잡음과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간 간섭에 강한 점 등, 기존의 아날로그 FM 라디오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을 갖습니다. 다만 영국의 사례처럼 방송국 수를 늘리기 위해 비트레이트를 낮추는 경우 오히려 FM보다 음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